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식당 사장님의 고충: 음식값 환불을 요구한 손님 때문에 생긴 사연

by info Bee 2024. 6. 17.

식당 사장님의 고충: 음식값 환불을 요구한 손님 때문에 생긴 사연
식당 사장님의 고충: 음식값 환불을 요구한 손님 때문에 생긴 사연

 

식당 사장님의 고충: 음식값 환불을 요구한 손님 때문에 생긴 사연

최근 한 자영업자가 겪은 속상한 일이 네티즌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자영업자 카페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부모님 가게 환불 속상해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글 작성자 A씨는 부모님이 20년 넘게 아구찜, 해물찜, 낚지볶음 등을 판매하는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A씨는 "60대 부부가 와서 1시간 넘게 아구찜 소, 막걸리 2병, 볶음밥을 남김 없이 식사하고 6만3000원을 결제하고 갔다"고 했습니다.

이어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더니 주방 앞까지 가서 '주인이 바뀌었냐', '전에 먹던 맛이 아니다', '나는 이 집 단골이다', '콩나물 식감도 이상하다'며 트집을 잡으며 음식값을 환불해달라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또 "식사를 다 드신 거 아니냐고 묻자 전날부터 굶어서 배고파서 먹었다며 억지를 부렸다"며 "손님도 많은 시간이었고 아르바이트생과 직원만 홀에 있던 상태라 제가 그 손님께 전화해서 막걸리 값은 내고 가시라 하고 나머지 식사값은 내일 승인 취소해주겠다고 내보냈다"고 했습니다.

통화를 마친 후 CCTV를 확인하니 거의 모든 음식을 먹은 상황이었습니다.

A씨는 "환불을 해달라고 하기엔 크게 양심이 없는 사람들이었다"며 "음식을 억지로 먹은 상태라고 보기엔 거의 다 드셨다"며 빈 그릇 사진을 올렸습니다.

그는 "상대하기 싫어 환불은 해주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냐"며 "영업방해나 무전취식이 적용되겠냐"고 했습니다.

이어 "부모님 힘들게 장사하시는데 이런 경우가 처음이라 마음이 아프다"고 덧붙였습니다.

네티즌들의 반응과 조언

이 사연을 본 네티즌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다 드신 음식은 환불 안된다고 강력히 말씀 드리고 이후에도 억지 부리면 영업방해로 신고하면 된다", "다음부터는 경찰 부르면 된다", "상습범 냄새가 난다", "볶음밥까지 해먹고 환불이라니", "먹을 거 다 먹고 뭐하는 건지 해주지마세요"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자영업자들이 취할 수 있는 대처법에 대한 조언도 있었습니다.

먼저, 손님이 식사 후 환불을 요구하는 경우 CCTV나 다른 증거 자료를 확보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영업방해나 무전취식으로 신고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확인하고, 필요시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자영업자의 고충과 어려움

이번 사연은 자영업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잘 보여줍니다.

고객 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일부 고객의 무리한 요구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작은 가게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문제는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자영업자들은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분쟁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미리 마련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자영업자들끼리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법적 대응과 대처 방법

이번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손님의 무리한 요구에 대해 법적으로 대응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무전취식이나 영업방해와 같은 행위는 법적으로 처벌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영업자들은 이에 대한 법적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손님과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중재 기관을 활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 등 중재 기관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면, 자영업자와 손님 모두에게 공정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자영업자들을 위한 조언

마지막으로, 자영업자들이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몇 가지 조언을 드립니다.

첫째, 모든 거래에 대해 증거를 남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CCTV나 영수증 등 증거 자료를 잘 보관해 두면, 문제가 발생했을 때 큰 도움이 됩니다.

둘째, 손님과의 소통을 강화해야 합니다.

손님의 불만을 미리 파악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셋째, 법적 대응 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무전취식이나 영업방해와 같은 문제에 대해 법적으로 어떻게 대응할지 미리 알아두면, 실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넷째, 자영업자들끼리 정보를 공유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서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결책을 모색하면, 비슷한 상황에서 더 나은 대처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연은 자영업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잘 보여주며, 앞으로도 이러한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